History
home
BDA 연혁
home

- 변수와 척도

통계학(Statistics)의 발전 과정

통계학(statistics)은 데이터의 수집, 분석, 해석, 그리고 데이터로부터의 결론 도출을 다루는 학문이다. 그 어원은 라틴어 'status'에서 유래되었으며, 초기에는 국가의 인구, 군사력, 경제 상태 등 국가의 상태를 기록하고 평가하는 데 사용되었다.

근대 통계학의 발전

근대 통계학은 17세기와 18세기에 확률론과 함께 발전하기 시작했다. 초기의 주요 관심사는 도박과 게임에 대한 확률 계산이었지만, 점차 과학적 실험과 사회과학 연구에 적용되기 시작했다.

확률론의 발전과 통계학

대수의 법칙(Law of Large Numbers, LLN): 대수의 법칙은 표본의 크기가 커질수록 표본 평균이 모평균에 가까워진다는 원리이다. 이 법칙은 확률론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통계학에서도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중심극한정리(Central Limit Theorem, CLT): 중심극한정리는 독립적이고 동일하게 분포된 확률 변수들의 합(또는 평균)이 충분히 큰 표본에서 정규분포에 가까워진다는 원리이다. 이는 표본 분포의 예측 가능성을 제공하며, 많은 통계적 추론 기법의 기초를 이룬다.
정규분포(Normal Distribution): 정규분포는 자연과학과 사회과학 전반에서 관찰되는 많은 현상들을 모델링하는 데 사용된다. 중심극한정리 덕분에, 많은 독립적인 랜덤 변수들의 합은 정규분포를 따르게 된다.

추론 통계학의 탄생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 추론 통계학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이는 데이터로부터 모집단의 특성을 추론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로널드 피셔(Sir Ronald A. Fisher): 피셔는 실험 설계, 분산분석(ANOVA), 최대우도추정법, 피셔의 정확검정 등 많은 중요한 통계적 방법론을 개발했다. 그는 추론 통계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현대 통계학의 발전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칼 피어슨(Karl Pearson): 피어슨은 상관계수, χ² 검정(카이제곱 검정), 피어슨의 분포 등을 개발했다. 그는 통계학의 수학적 기반을 강화하고, 생물학적 문제에 통계적 방법을 적용하는 데 기여했다.

추론 통계학의 발전

헨리 셰페(Henry Scheffé): 셰페는 분산 분석(ANOVA)과 관련된 작업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의 주요 기여 중 하나는 셰페의 방법으로, 다중 비교 문제에서 모든 쌍의 평균 차이에 대한 동시 신뢰구간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실험 설계와 분석에서 널리 사용되며, 복잡한 실험 데이터를 분석할 때 여러 가설을 동시에 테스트하는 데 유용하다.
월터 A. 슈하트(Walter A. Shewhart): 슈하트는 품질 관리의 아버지로 불리며 제어 차트(control charts)와 품질 관리의 과학적 방법을 개발했다. 제어 차트는 생산 과정에서 품질 변동을 모니터링하고 공정이 통제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된다. 슈하트는 제조 및 서비스 산업 전반에 걸쳐 품질 관리의 기준을 마련했다.
아브라함 왈드(Abraham Wald): 왈드는 순차 분석(sequential analysis)의 개발로 유명하다. 순차 분석은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분석하여 가능한 한 빨리 결정을 내릴 수 있는 통계적 방법이다. 이 방법은 제2차 세계대전 중 군사 작전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이후 의료, 금융 및 산업 공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었다.
조지 에드워드 펠럼 박스(George E.P. Box): 박스는 실험 설계와 통계적 프로세스 제어에 중요한 기여를 한 인물이다. 그는 Box-Jenkins 모델을 공동 개발했으며, 이 모델은 시계열 데이터 분석에서 널리 사용된다. 또한, 그는 Box-Cox 변환을 제안하여 데이터를 정규 분포에 가깝게 변환하는 방법을 소개했다. 박스의 작업은 과학적 연구와 산업 응용 모두에서 실험 설계와 데이터 분석 방법을 향상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