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적 가설검정의 예시
다양한 상황에서의 통계적 가설검정 방법을 알아보자.
모분산이 알려진 정규모집단에서의 모평균에 대한 가설검정
모분산이 알려진 정규모집단의 경우 표준 정규분포를 사용하여 모평균에 대한 검정을 실시하고 이를 Z-검정 도는 정규검정이라고 한다.
1.
가설 설정:
•
귀무가설(H0): 모집단의 평균 μ는 특정 값 μ0와 같다. 예: μ=μ0
•
대립가설(H1): 모집단의 평균 μ는 특정 값 μ0와 다르다(양측 검정), 크다(우측 검정), 작다(좌측 검정). 예: μμ0, μ>μ0, 또는 μ<μ0
2.
검정 통계량 계산:
•
는 표본 평균, 은 모분산, n은 표본 크기이다. 귀무가설이 참일 때,
3.
유의수준 설정: 일반적으로 0.05 또는 0.01을 사용
4.
기각역 설정:
•
우측검정의 기각역:
•
좌검정의 기각역:
•
우측검정의 기각역:
모분산이 알려지지 않은 정규모집단에서의 모평균에 대한 가설검정
모분산이 알려져 있지 않을 때 정규모집단의 가설검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t-분포를 사용한다. t-분포는 모분산이 알려져 있지 않고 표본 크기가 작을 때(보통 n < 30), 정규분포 대신 사용된. 이 경우, 단일 표본 t-검정(one-sample t-test)라고 한다.
1.
가설 설정:
•
귀무가설(H0): 모집단의 평균 μ는 특정 값 μ0와 같다. 예: μ=μ0
•
대립가설(H1): 모집단의 평균 μ는 특정 값 μ0와 다르다(양측 검정), 크다(우측 검정), 작다(좌측 검정). 예: μμ0, μ>μ0, 또는 μ<μ0
2.
검정 통계량 계산:
•
는 표본 평균, 는 표본 표준편차, n은 표본 크기이다. 귀무가설이 참일 때,
3.
유의수준 설정: 일반적으로 0.05 또는 0.01을 사용
4.
기각역 설정:
•
우측검정의 기각역:
•
좌검정의 기각역:
•
우측검정의 기각역:
모분산이 알려지지 않은 비정규모집단에서의 모평균에 대한 가설검정
모분산이 알려지지 않은 비정규모집단의 경우 검정통계량은 표본의 크기 이 충분히 클 때, 중심극한정리를 이용하여 근사적으로 검정을 실시한다.
1.
가설 설정:
•
귀무가설(H0): 모집단의 평균 μ는 특정 값 μ0와 같다. 예: μ=μ0
•
대립가설(H1): 모집단의 평균 μ는 특정 값 μ0와 다르다(양측 검정), 크다(우측 검정), 작다(좌측 검정). 예: μμ0, μ>μ0, 또는 μ<μ0
2.
검정 통계량 계산:
•
는 표본 평균, 은 모분산, n은 표본 크기이다. 귀무가설이 참일 때, 다음 통계량은 근사적으로 표본 정규분포를 따른다.
3.
유의수준 설정: 일반적으로 0.05 또는 0.01을 사용
4.
기각역 설정:
•
우측검정의 기각역:
•
좌검정의 기각역:
•
우측검정의 기각역:
정규모집단에서 모분산에 대한 가설 검정
모평균, 모분산이 알려지지 않은 정규모집단 에서 모분산에 대한 가설검정은 카이 제곱 분포를 활용하여 검정을 진행한다.
1.
가설 설정:
•
귀무가설(H0): 모분산 는 특정 값 와 같다. 예:
•
대립가설(H1): 모분산 는 특정 값 와 다르다(양측 검정), 크다(우측 검정), 작다(좌측 검정). 예: ,, 또는
2.
검정 통계량 계산: 귀무가설이 참일 때,
3.
유의수준 설정: 일반적으로 0.05 또는 0.01을 사용
4.
기각역 설정:
•
우측검정의 기각역:
•
좌검정의 기각역:
•
우측검정의 기각역: 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