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test의 종류
두 모집단의 데이터의 수가 충분히 크거나 정규분포를 따를 때, 두 모평균을 비교하는 검정방법들은 다음과 같다.
graph TD A(두 집단에 대한 데이터) -- 두 집단이 독립적으로 관측--> B[모분산] A(두 집단에 대한 데이터) -- 두 집단이 쌍을 이루어 관측--> C[D=X-Y] B[모분산] -- 알려진 경우 --> D[Z-test] B[모분산] -- 알려지지 않은 경우 --> E[분산 동일성 검정] C[D=X-Y] --> F[한 집단에 대한 모평균 검정] E[분산 동일성 검정] -- 등분산인 경우 --> G[합동분산 이용 T-test] E[분산 동일성 검정] -- 등분산이 아닌 경우 --> H[자유도 근사 T-test]
Mermaid
복사
독립인 두 모분산이 알려져 있는 정규 모집단
서로 독립이고 샘플의 수가 각각 인 두 표본 가 각각 를 따르면, 두 표본평균의 차 를 따른다.
두 모평균의 차에 대한 신뢰구간
두 모평균의 차 에 대한 % 신뢰구간은 다음과 같다.
검정통계량
귀무가설 이 참일 때,
우측검정(에서의 기각역:
좌측검정(에서의 기각역:
양측검정(에서의 기각역:
합동 분산 T-test
서로 독립이고 샘플의 수가 각각 인 두 표본 가 각각 를 따르고, 분산이 같을 경우 공통 모분산의 불편추정량인 를 사용한다.
두 모평균의 차에 대한 신뢰구간
두 모평균의 차 에 대한 % 신뢰구간은 다음과 같다.
검정통계량
귀무가설 이 참일 때,
우측검정(에서의 기각역:
좌측검정(에서의 기각역:
양측검정(에서의 기각역:
자유도 근사 T-test
서로 독립이고 샘플의 수가 각각 인 두 표본 가 각각 를 따를 경우 아래와 같이 자유도 근사를 통해 자유도 를 구한다.
다음 통계량 는 근사적으로 자유도가 인 t-분포를 따른다.
두 모평균의 차에 대한 신뢰구간
두 모평균의 차 에 대한 % 신뢰구간은 다음과 같다.
검정통계량
귀무가설 이 참일 때, 다음 통계량은 근사적으로 자유도가 인 t-분포를 따른다.
우측검정(에서의 기각역:
좌측검정(에서의 기각역:
양측검정(에서의 기각역: